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8

⏳ 딥 타임(Deep Time): 지구 역사를 읽는 과학적 시간의 눈금 ‘딥 타임(Deep Time)’은 일반적인 인간의 시간 감각을 초월하는 개념입니다.이 용어는 18세기 지질학자인 제임스 허턴(James Hutton)에 의해 처음 개념화되었으며, 그의 말처럼 "자연에서는 시작도 끝도 보이지 않는다(No vestige of a beginning, no prospect of an end)."는 시간의 깊이를 담고 있습니다.딥 타임은 지질학적 시간, 곧 수백만 년에서 수십억 년에 이르는 지구의 역사를 이해하기 위한 프레임이며, 이는 현대 과학, 특히 지질학, 고생물학, 기후과학 등에서 핵심 개념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딥 타임의 기원과 과학적 정립지구의 나이와 방사성 연대 측정지구의 나이는 현재 약 45.4억 년(Billion years)으로 추정됩니다. 이 수치는 우라늄-납(.. 2025. 7. 1.
🌱 토양도 살아있다: 미생물과 토양의 지구화학적 역할 지구과학을 이야기할 때 사람들은 종종 하늘(기상)이나 지하 깊은 곳(지각, 맨틀)을 떠올리곤 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매일 디디고 서 있는 ‘땅’, 즉 토양은 생각보다 더 역동적인 지구 시스템의 한 축입니다. 특히 토양 속 미생물은 식물의 생장을 돕는 것 이상의, ‘지구를 움직이는’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토양은 ‘죽은 땅’이 아니라 생명체의 우주다많은 사람들이 토양을 단순히 식물이 뿌리를 내리는 기반 정도로만 생각하지만, 실제 토양은 거대한 생명체의 집합소입니다.1그램의 건강한 토양에는 수천 종 이상의 미생물이 존재하며, 그 수는 수억 개체에 이를 수 있습니다. 이 미생물들은 박테리아, 고세균, 곰팡이, 방선균, 원생동물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은 서로 다른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이 미생물들은.. 2025. 7. 1.
지구 궤도는 꽉 찼다? 인공위성 교통체증의 시대 불과 수십 년 전만 해도, 인공위성은 국가기관이나 우주 전문 기관만이 운용하던 귀한 존재였습니다. 하지만 최근 몇 년 사이, 민간 기업과 신흥 우주 강국들의 참여가 늘어나면서 인공위성은 그야말로 '대중화'되었고, 그 결과 지구 궤도는 점점 붐비기 시작했습니다. 지금의 상황은 마치 교통 신호 없는 도로에 차량이 무질서하게 몰리는 것과 비슷하다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습니다.급증하는 인공위성 수와 교통량 2020년 이후 인공위성 발사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민간 우주기업인 스페이스X(SpaceX)는 자사의 위성 인터넷 서비스인 '스타링크(Starlink)' 프로젝트를 통해 현재까지 6,000기 이상의 저궤도 위성을 발사했으며, 앞으로 수만 기를 추가로 쏘아올릴 계획입니다.뿐만 아니라 아.. 2025. 6. 28.
우주 쓰레기, 지구를 위협하는 또 하나의 문제 밤하늘을 올려다보면 수많은 별들이 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그 중 일부는 더 이상 작동하지 않는 인공위성이나 로켓 잔해, 즉 '우주 쓰레기(Space Debris)'일 수도 있습니다. 우주 쓰레기는 단지 지구 밖의 문제로 끝나지 않습니다. 점점 증가하는 이 잔해들은 인공위성과 우주 탐사에 위협이 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지구 상공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우주 쓰레기는 무엇이며 왜 생겨났을까? 우주 쓰레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거나 고장 난 인공위성, 로켓의 일부, 위성 간 충돌로 발생한 파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957년 스푸트니크 1호가 발사된 이후로 인류는 수천 기의 인공위성을 쏘아 올렸고, 이 과정에서 방대한 양의 인공물들이 우주 궤도에 남게 되었습니다.이러한 쓰.. 2025. 6. 28.
바다 속 ‘산호초’는 왜 죽어가고 있을까? 맑고 푸른 바닷속, 알록달록한 물고기들과 어울려 살아가는 산호초는 그 자체로 하나의 생태계이자 지구의 보물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 이 순간에도 전 세계 곳곳의 산호초는 점점 하얗게 변하며 죽어가고 있습니다. 바다 깊숙이 숨어 있던 이 아름다운 존재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걸까요?산호는 무엇이고, 왜 중요할까요?산호는 식물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동물입니다. 아주 작은 산호충(폴립)이라는 동물이 무리를 이루어 살아가며, 바닷물 속의 칼슘을 흡수해 석회질 골격을 만들면서 점차 산호초를 형성합니다. 이 과정은 수십 년, 수백 년의 시간이 필요하며, 거대한 산호초는 그 자체로 다양한 해양 생물들의 집이 됩니다.산호초는 다음과 같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해양 생물의 서식지: 바닷속 생물종의 25% 이.. 2025. 6. 27.
화산재는 왜 비행기를 멈추게 할까? 하늘 위를 나는 항공기가 화산 폭발과 무슨 관계가 있을까요?전 세계적으로 대규모 화산 폭발이 발생하면, 수천 킬로미터 떨어진 나라들의 항공편까지 결항되는 일이 생기곤 합니다.특히 2010년 아이슬란드 에이야퍄틀라요퀴틀 화산(Eyjafjallajökull)의 폭발은 유럽 전역의 항공망을 마비시키며 전 세계인들에게 화산재의 위험성을 각인시킨 대표적인 사례입니다.단순히 연기 정도로 여겨질 수 있는 화산재는, 실제로는 항공기에게 매우 치명적인 위협이 됩니다.그렇다면 화산재는 왜 비행기의 운항을 어렵게 만들며, 어떤 과정을 통해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걸까요?화산재란 무엇인가요?화산이 폭발할 때 뿜어져 나오는 것 중 하나가 바로 화산재(volcanic ash)입니다.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재'는 우리가 흔히 생각.. 2025. 6. 23.